전 세계 50여 개국의 탈과 탈 문화를 소개하고 있는 하회세계탈박물관(관장 김동표)은 안동 하회마을 인근에 위치한 전문박물관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탈춤을 주제로 다양한 전시 및 교육 활동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문화적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교육 프로그램에 앞장서며, 지역 사회와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문화교육 거점기관으로 성장하고 있다.2025년, 하회세계탈박물관은 KB손해보험과 한국박물관협회가 함께하는 ‘KB열린박물관’ 사업에 2년 연속 선정되었으며, 지난해에 이어 ‘나비효과2: 사막을 초록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사막화로 위협받는 지역의 탈 문화를 조명하고, 이를 지키기 위한 실천 활동으로 나무 심기 체험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문화 소외계층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선착순 100명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세계 환경문제와 문화유산 보호라는 두 가지 주제를 창의적으로 융합한 이 프로그램은, 교육을 통해 생태 감수성과 문화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편, 하회세계탈박물관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주관의 ‘길 위의 인문학’ 사업에도 선정되어, ‘온고지신(溫故知新)으로 인싸되기!’라는 프로그램을 새롭게 선보인다.이 프로그램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이라는 전통적 공간을 배경으로, 어린이들이 전통문화를 체험하면서 현대 사회에 필요한 사회성, 배려심 등 인성 요소를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정신을 바탕으로, 과거의 지혜를 배우고 이를 현대적으로 적용하는 인문 교육을 지향한다.올해는 풍천풍서초등학교 2학년과 안동 로뎀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이 참여하며, 6월 24일부터 수업이 시작된다.하회세계탈박물관은 지난해에도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한 ‘나비효과’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호평을 받았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과 ‘길 위의 인문학’ 우수기관 선정 등의 성과를 이룬 바 있다. 올해도 두 개의 공공 교육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에 문화와 인문교육의 가치를 전하며, 사회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박물관 관계자는 “환경과 문화, 인성을 연결하는 박물관 교육의 진화를 통해 지역 아이들에게 더 넓은 세상을 경험하게 해주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꾸준히 개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