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타야뉴스=이은희기자]한지형 마늘의 최대 주산지인 경북 의성군이 일손이 부족한 가운데도 마늘 수확작업이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밝혔다. ‘의성마늘’은 고품질 한지형 마늘로 전국 1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고, 98%가 논마늘로 전년 11월 초까지 파종하여 영하 20℃이상의 혹한기를 이겨내고 2월에 새싹이 돋아 6월 중순(夏至 전)에 수확 후 자연건조 과정과 선별작업을 통해 7월부터 본격으로 시중에 판매될 예정이며, 우량종구 품종갱신으로 쪽수가 6~8쪽으로 의성마늘 고유의 향과 매운맛으로 소비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올해 3월 이른 고온 현상으로 일부 마늘잎이 누렇게 변하는 증상이 보이기는 했으나 정상적으로 성장 및 비대하여 전년 대비 작황이 좋을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다. 하지만 5월 잦은 강우와 저온으로 생육 비대기에 영향을 미쳐 생산량이 전년 대비 2~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한지마늘 재배농가들은 6월 초 주아재배용 마늘 수확을 시작으로 6월 중순과 말경 지속된 강우 예보로 평년보다 조금 이른 21일경 대부분 수확 작업을 마무리 지었다. 한편, 의성군 마늘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31ha정도 감소한 1,215ha 중 한지형 마늘 950ha(전국 21% 차지), 난지형 마늘 265ha로 한지형 마늘 국내 최대 주산지이며, 한지형 의성마늘은 전국 생산량의 2.6%에 해당하는 아주 귀한 마늘로 알린 성분이 많아 특유의 향이 강하고, 매운맛, 단맛 등 다섯 가지 맛이 고루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30brix이상의 당도가 있어 즙액이 많고 살균력이 강해 김치 담글 때 최고인 한지형 의성마늘은 주아재배와 논 이모작 재배로 병해충에 강하고 월동을 통해 저장성이 좋은 마늘로 생산하고 있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주대마늘로 출하하는 한지마늘 특성상 최근 이어진 인건비 상승은 농가들의 생산비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며, “한지마늘에 대한 소비자 인식 제고를 통해 마늘 생산 기계화를 이루고, 의성 한지마늘 브랜드홍보 및 상품화 지원 등으로 농가 소득이 안정될 수 있도록 더욱 힘쓰겠다.”고 밝혔다.
최종편집: 2025-05-15 22:40:45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고타야뉴스주소 : 경북 안동시 옥동 7길. 2F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경북 아00718 등록(발행)일자 : 2023년 03월 27일
발행·편집인 : 이은희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은희 청탁방지담당관 : 이은희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이은희e-mail : eunhee7787@naver.com
Tel : 054-853-7787 팩스 : 054-853-7787
Copyright 고타야뉴스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