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타야뉴스=이은희기자]칠곡군은 지난 14일 문화재청에서 왜관읍 소재의 `칠곡 매원마을(漆谷 梅院마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했다고 밝혔다.`칠곡 매원마을`은 17세기 광주이씨(廣州李氏)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 1569-1634)가 아들 이도장(李道長, 1603-1644)을 데리고 함께 이사 온 후, 이도장의 차남 이원록(李元祿, 1629-1688)이 뿌리를 내려 그 후손들이 지금까지 살고 있는 영남지방의 대표적인 동족(同族)마을 중 한 곳이다.마을은 주변 자연지세에 순응하여 기본적으로 동․서 방향을 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운데 ‘중매’를 중심으로 동쪽의 ‘상매’와 서쪽의 ‘하매’로 영역이 구분되는데, 이는 동족 구성원들이 분파(分派)되어 나아가는 시간적․공간적 특성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마을 곳곳에는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중에서도 마을 서쪽 경계(풍수지리상 우백호에 해당)의 지형을 보강하기 위한 비보수(裨補樹)로서의 ‘소나무 밭(동솔밭)’은 주거지(住居地)로서의 전통적 개념이 잘 드러나 있는 중요한 내용이다. 또한 오늘날에도 동제(洞祭)를 통해서 마을의 전통을 계승해 오는 등 지난 400여 년간의 역사성을 비교적 잘 보존하고 있다.이와 함께, 오늘날`칠곡 매원마을`이 갖는 또 다른 중요한 문화유산적 가치로 평가되는 것은 근대기(近代期)와 6․25전쟁 등을 거치면서 나타나는 시대적 변화상으로써 마을 내 여러 곳에 재실(齋室)이 세워지게 되고 또한 주거의 기능으로 용도가 바뀌는 등의 유교적 질서체계가 시대적 상황에 순응하며 변모해 가는 양상을 비교적 구체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 이에 근․현대기를 지나오면서 마을 영역의 확장 및 생활방식 등의 변화 속에서 다른 영남지방의 동족마을과 구별되는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국가등록문화재로서의 등록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그 공간적인 범위에는 역사성(歷史性) 및 시대성(時代性)을 담고 있는 가옥 및 재실, 서당(書堂) 등을 비롯해 마을옛길, 문중(門中) 소유의 문전옥답(門前沃畓), 옛 터 등 다양한 민속적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이번에 등록 예고된 `칠곡 매원마을`에 대해 문화재청은 30일간의 예고기간을 통해 의견을 수렴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등록할 예정이다.김재욱 칠곡군수는 “매원마을이 국가등록 민속마을로 등록되는 것은 전국 최초의 사례로 안동 하회, 경주 양동과 함께 400여 년간 이어져 온 영남 3대 반촌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며, 특히 우리군과 주민간의 합심의 결과여서 더욱 의미가 깊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매원마을에 대한 체계적인 종합정비계획을 수립하여 문화재 보존관리와 활용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종편집: 2025-05-10 19:28:27
최신뉴스